
호수별 모아보기
-
vol.79 2023.05.31
- - ‘제53회 매경 이코노미스트상’ 수상! 유지경성(有志竟成)의 표본, 김윤정 교수를 만나다
- - 다시, 우리의 뜨거웠던 서강으로 93학번 홈커밍데이 학과 대표자 모임 및 2023 홈커밍 장학금 수여식 개최
- - 다채로운 타이포그래피에 한글의 아름다움을 담는 레터링 디자이너 류해성(신방, 아텍 20) 학우를 만나다
- - ‘서강템’으로 찾는 소소한 행복, 24시간 운영 서강 기념품샵
-
vol.78 2023.04.28
- - 서강인의 미래를 위한 열린 공간을 향해 로욜라도서관 ‘라파엘 라이브 스튜디오’ 개관
- - 전후자 동문님과 함께한 『세계 여성의 날 기념, 도서큐레이션』 서강대학교 성평등 서포터즈를 만나다
- - 서강 취준생들을 위한 면접구두 기부 이벤트의 주인공, 여성화 브랜드 ‘레브바이레브’의 대표, 박관선(경제 11) 동문을 만나다
- - ‘2023 세계 물의 날’ 기념 대통령 표창에 이어 ‘2023 세계 기상의 날’ 기념 기상청장 표창 수상을 거머쥔 박상현(국문 08) 동문을 만나다
-
vol.77 2023.03.31
- - 들어는 보았나, 종이비행기 국가대표! ‘덕업일치’를 이룬 이색스포츠 마케터, 이정욱(신방 11) 동문을 만나다
- - 2023 서울특별시 공립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석 합격’의 주역, 오민경(국문 학사14, 석사 18) 동문을 만나다
- - 2024년 세계로 더 뻗어갈 서강을 위해, 새롭게 서강의 자랑이 될 그대들을 위한 로욜라 국제대학 한국어 교양강좌 표준모델 연구 워크숍
- - 더 넓은 배움을 향한 서강인들의 정진을 응원하며, 2023학년도 1학기 이색 개설과목 소개
-
vol.76 2023.02.28
- - ‘잇츠 오케이’와 ‘만만송’ 그리고 IT기업 회사원까지 종횡무진하는 만능 엔터테이너, 권민성(유문, 신방 16) 동문을 만나다
- - 2023 Peter Porter Poetry Prize 수상자, 영문학부 Dan Disney 교수를 만나다
- - 더 빛날 서강인을 위한 노력들, 글쓰기센터와 교수학습센터를 만나다
- - 개강맞이 서강가젯 기자단의 꿀팁 대방출, 지루한 공강 시간, 어디서 보내면 좋을까?
서강을보다
-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1차년도 마무리, LINC 3.0사업 2차년도를 시작하며작년 6월 본교는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인 ‘LINC 3.0 사업’에 선정되었다. LINC 3.0 사업은 총 6년간 이루어 지며, 1차 연도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서강가젯은 송태경 대외부총장(LINC사업단장), 이규태 산학협력단 부단장(산학협력정보담당관)을 만나 1차 연도 사업의 성과와 2차 연도에 추진할 프로젝트 및 이를 통해 서강대 학생들이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초기 교수님들의 노고와 헌신을 기리며, 서강비전 2030 실현을 위한 개교 첫 교수회의 기념 뮤럴 제막식1960년 4월 18일, 서강대학교가 개교한 날이다. 서강대학교 초기 교수인 John L. Mitchell 교수는 1960년 4월 초, 개교를 앞두고 진행된 첫 번째 교수회의에서 찍은 사진을 뮤럴로 만들어 달라며 제작비를 기부해주었고, 이에 학교 측은 첫 교수회의 흑백사진을 뮤럴 액자로 새롭게 복원하였다. 이에 4월 18일(화), 개교 63주년을 기념하며 개교 초기 교수진의 열정과 헌신을 기리고자 ‘개교 첫 교수회의 기념 뮤럴 제막식’이 열렸다. 서강가젯은 이날 행사 이야기와 뮤럴의 주인공인 개교 초기 교수진인 Terence W.Doyle 교수, 김용권 교수, 김인자 교수의 소감을 들어보았다.
-
당신의 시작을 서강과 함께, 4년만에 재개된 2023 서강대학교 새내기 교외 오리엔테이션대학생활 챕터의 시작인 새내기 교외 오리엔테이션이 지난 2월 26일부터 28일까지 강원도 홍천 소노벨 비발디파크에서 진행되었다. 본 행사에서는 2박 3일 동안 서강대학교 새내기를 대상으로 학교생활 소개, 학부별 교수 및 선배와의 만남, 문화 행사, 응원 교육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이는 새내기들에게 서강인으로서 한 발짝 다가가게 해준 기회가 되었다. 2019학년도 이후 4년 만에 대면으로 진행되어 서강대학교 새내기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으로 남은 그 날을 서강가젯이 함께 했다.
서강을 만나다
-
다채로운 타이포그래피에 한글의 아름다움을 담는 레터링 디자이너 류해성(신방, 아텍 20) 학우를 만나다우리 학교의 건물들을 소재로 한 타이포그래피 연작과 정문 현수막 프로젝트 ‘서강이 서강에게’의 새로운 로고를 제작하며 많은 학우들의 호응을 얻은 류해성(신방, 아텍 20) 학우. 레터링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존재를 알리고, 이제 더 큰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그의 이야기를 서강가젯이 들어보았다.
-
‘제53회 매경 이코노미스트상’ 수상! 유지경성(有志竟成)의 표본, 김윤정 교수를 만나다국내 최고 권위의 경제·경영 논문상인 매경 이코노미스트상을 수상한 경제대학 김윤정 교수를 서강가젯이 만나보았다. 김윤정 교수는 지난 4월 10일 서울 중국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제53회 매경 이코노미스트상’을 수상하였다. 매경 이코노미스트상은 매년 가장 뛰어난 성과를 보인 경제·경영학자에게 수여하는 학술상으로, 김윤정 교수는 경제학 분야 최고의 저널인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에 게재된 논문 「International Capital Flows: Private versus Public Flows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민간, 정부 부문 자본 유출입 패턴을 경기 변동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개발도상국의 외환보유액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학부생 때부터 올해 수상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경제학 연구에 매진한 그녀의 이야기를 담아보았다.
-
‘2023 세계 물의 날’ 기념 대통령 표창에 이어 ‘2023 세계 기상의 날’ 기념 기상청장 표창 수상을 거머쥔 박상현(국문 08) 동문을 만나다서강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여 현재 조선일보 사회정책부에서 기자로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박상현(국문 08) 동문을 서강가젯이 만나보았다. 박상현 동문은 지난 3월 22일 언론인 최초로 ‘세계 물의 날’에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고, 바로 다음 날 3월 23일 ‘2023 세계 기상의 날’ 기념식에서 기상청장 표창을 받았다. 물관리 유공으로 ‘2023 세계 물의 날’ 기념식에서 표창 받은 것에 이어, 재해기상 현장을 발굴 및 취재한 것으로 기상 분야에서도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서강대학교 재학시절부터, 기자라는 직업을 갖고, 수상에 이르기까지 ‘마부위침’의 삶을 살아온 그의 이야기를 담아보았다.
서강을 그리다
-
다시, 우리의 뜨거웠던 서강으로 93학번 홈커밍데이 학과 대표자 모임 및 2023 홈커밍 장학금 수여식 개최많은 사회적 변화가 있었던 80~90년대를 서강에서 보낸 82~93학번 동문들이 그 시절을 추억하며 다시 한 번 서강에 모였다.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빛나던 시기인 20대를 함께했던 그들에게 재학 당시의 추억을 다시금 되새기게 하는 ‘93학번 홈커밍데이 학과 대표자 모임’, 그리고 ‘2023홈커밍 장학금 수여식’ 현장을 서강가젯이 담아보았다.
-
서강인의 미래를 위한 열린 공간을 향해 로욜라도서관 ‘라파엘 라이브 스튜디오’ 개관지난 3월 20일, 본교 로욜라도서관 1관 4층 ‘꿈꾸는 숲’에 ‘라파엘 라이브 스튜디오’가 개관했다. 라파엘 라이브 스튜디오는 젊은이와 여행자의 수호천사인 라파엘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영상 제작과 라이브 방송이 가능한 촬영 스튜디오와 편집실로 구성되어 있다. 서강가젯이 라파엘 라이브 스튜디오를 직접 다녀온 후, 조성에 필요한 기부금을 출연한 김경환(경제 76) 명예교수·연구석학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
2024년 세계로 더 뻗어갈 서강을 위해, 새롭게 서강의 자랑이 될 그대들을 위한 로욜라 국제대학 한국어 교양강좌 표준모델 연구 워크숍시대가 변함에 따라 대학이 학생들과 소통하는 방법도, 교육의 모델도 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질 향상과 인재를 배양시킨다는 목적은 변함이 없다. 세계화가 지속되면서 한국 학생뿐만 아니라 우수한 국제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그동안 서강대는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리고 드디어 2024년, 로욜라 국제대학의 첫 신입생이 입학할 예정이다. 그중 글로벌한국학부 내에 신설될 한국어교육 전공과 글로벌융합학부에 신설될 글로벌 경제, 글로벌 경영, 글로벌 미디어 전공은 한국어로 교육과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2021년 하반기부터 한국어교육 소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표준모델 연구에 힘쓰고 있다. 지난 3일에 열린 한국어 교양강좌 표준모델 워크숍에 서강가젯이 다녀왔다.
서강을비추다
-
‘서강템’으로 찾는 소소한 행복, 24시간 운영 서강 기념품샵2023.05.31
-
전후자 동문님과 함께한 『세계 여성의 날 기념, 도서큐레이션』 서강대학교 성평등 서포터즈를 만나다2023.04.28
-
더 넓은 배움을 향한 서강인들의 정진을 응원하며, 2023학년도 1학기 이색 개설과목 소개2023.03.31
-
개강맞이 서강가젯 기자단의 꿀팁 대방출, 지루한 공강 시간, 어디서 보내면 좋을까?2023.02.28
-
새해맞이 서강 플레이리스트 공모 프로젝트, “새해에 무슨 노래 들으세요?”2023.02.06